목록전체 글 (461)
코드네임 :

opt 키 누르고 프레임 움직이면 똑같은거 복사됨/ ctrl + D : 방금 했던 행동 반복눈금자 단축키 : shift R

[ Fragment ]: 액티비티처럼 이용할 수 있는 뷰 (액티비티처럼 보이는 뷰)- 액티비티 내에 배치되어 사용자 화면을 구성하며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 [ 프래그먼트 데이터 전달 ]데이터 전달 방법 : 프래그먼트 생성 시에 값을 전달하기 - Bundle, 프래그먼트 매니저를 통해 전달 ( Bundle : key-value 형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객체 ) : 생성되어 있는 프래그먼트에 값을 전달하기 - 프래그먼트를 생성한 액티비티에 값을 전달할 메소드 생성 그 과제 코드로 보는데 다음장의 네비게이션까지 확인하고 보심 좋겟네요

[ 액티비티 생명주기 ]: 액티비티의 생성부터 소멸까지의 주기를 뜻함- 안드로이드 응용프로그램은 화면이 작아 동시에 여러 개의 액티비티(화면)이 나올 수 없음- 앞에 나오는 화면 하나만 활성화 된 상태이고 나머지는 모두 비활성화된 상태로 남게 됨 로그캣 : 남긴 로그를 확인하는 화면 코드 : Example6_3, Project6_1

[ 암시적 인텐트 Implicit Intent (묵시적) ]: 약속된 액션을 지정하여 안드로이드에서 제공하는 기존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함- 수신 대상의 이름을 포함하지 않음- 예시 : 전화걸기 (전화번호를 인텐트로 넘긴 후에 전화 걸기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것과 같음) 1. 암시적 인텐트란?목적에 따라 적절한 앱이나 컴포넌트를 Android 시스템이 알아서 선택하도록 맡기는 인텐트.실행할 대상 액티비티나 컴포넌트를 명시적으로 지정하지 않음.대신 **동작(Action)**과 **데이터(Data)**를 정의하여 Android 시스템이 해당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 앱을 찾아줍니다.2. 예시명시적 인텐트Intent intent = new Intent(MainActivity.this, SubActivity.c..

New 로 subActivity 생성 startActivity(intent)는 단방향 데이터이다 양방향으로는 못하나?? = 있음!ActivityResultlaucher를 사용한다! 코드는 Example 6_1_2코드들 (주석달린거)public class MainActivity extends AppCompatActivity { //launcher는 ActivityResultLauncher라는 타입의 변수입니다. //이 변수는 액티비티를 호출하고 결과를 받아오는 데 사용하는 도구 ActivityResultLauncher launcer; ~onCreate(){ btnNewActivity.setOnClickListener(new View.OnClickListen..

[ 페이지 교체 ]: 메모리 프레임 중 하나를 선택하여 비우고, 이곳에 요청된 페이지를 적재하는 과정- 페이지 폴트 핸들러에서 실행되는 작업- 희생 프레임 (victim frame) : 비우기로 선택된 프레임- 희생 페이지 (victim page) : 희생 프레임에 들어있는 페이지- 희생 페이지는 swap-out, 요청 페이지는 swap-in [ 선입 선출 교체 알고리즘 (FIFO) ] ⬇️ 해결책들 !!1. [ 최적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OPT) ] 2. [ 최근 최소 사용 교체 알고리즘 ] 3. [ LRU 구현 : 카운터 이용 ] 4. [ LRU 구현 : 스택 이용 ] 5. [ LRU 구현 : LRU 근접 알고리즘 ] 6. [ LRU 구현 : 참조 비트 쉬프트 알고리즘 ]7. [ LRU 구현 :..

페이지 폴트와 스래싱 : 페이지 폴트가 발생하면 필연적으로 디스크 I/O 증가 [ 스래싱 ]: 페이징 폴트가 과다하게 방생하여 CPU 활용률이 대폭 감소하는 현상 [ 스래싱 원인 ]1. 다중 프로그래밍 정도가 과도한 경우 ( 메모리에 비해 너무 많은 프로세스 실행됨)2. 잘못된 메모리 할당 /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3. 기본적으로 메모리 량이 적을 때4. 우연히도 특정시간에 너무 많은 프로세스 실행 [ 지역성 ]: 실행 중인 프로세스가 동일한 값이나 관련 저장 위치를 자주 엑세스 하는 현상(균일하게 엑세스하는 것이 아닌 선호하는 특정 페이지만 집중적으로 참조하는 현상) [ Working Set Model - 작업 집합 모델 ]**Working Set Model(작업 집합 모델)**은 가상 메모리 관리에..

[ 요구 페이징 ]: 현재 실행에 필요한 일부 페이지만 메모리에 적재하고 나머지는 하드디스크에 두고, 페이지가 필요할 때 메모리에 적재하는 방식 (요구 : 페이지가 실행에 필요할 때 물리 메모리를 할당받고 디스크에 읽어 적재) [ 요구 페이징 구현의 전형적인 형태 ]- 운영체제는 첫 페이지만 물리 메모리에 적재하고,- 실행 중 프로세스가 다른 페이지를 필요로 할 때 그 때에 물리 메모리에 적재 [ 스왑 영역 ]: 메모리가 부족할 때 메모리를 비우고 페이지를 저장해두는 하드 디스크의 영역 [ fork()의 완전복사 & 쓰기 시 복사 ] **쓰기 시 복사(Copy-On-Write, COW)**란, 부모 프로세스와 자식 프로세스가 동일한 메모리 페이지를 공유하다가, 어느 한쪽에서 해당 페이지를 수정하려고 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