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Network/데이터통신네트워크 (14)
코드네임 :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Link Layer- 사물인터넷 덕분에 관심 up- 링크레이어는 LAN 카드 (Network Interface card)에 내장되어있음 Link Layer : services- 프레이밍 (데이터그램을 프레임으로 바꿈)- channel 접근 권한- 노드간 신뢰성 있는 전송- 흐름제어- 에러 감지- 에러 수정(correction)- half-duplex(단방향) & ful-duplex(양방향) [ Error detection ]: 네트워크 계층에서 보내는 datagram에 EDC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bits) 라는 추가 정보를 만들어서 보냄- EDC(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bits) 와 D(Data protected by error ch..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라우터의 기능forwarding : 라우터의 input link로 들어온 패킷들을 적절한 output link로 내보내는 것 - data plane에서 이루어짐routing : 어떤 패킷이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 이동하는 경로를 결정하는 것 - control plane에서 이루어짐 Routing protocols : 네트워크의 라우터를 통해 전송자로부터 수신자까지 이동하는 '좋은' 경로를 결정하는 프로토콜 좋은 경로 : 비용이 최소거나, 가장 빠르거나, 혼잡이 덜하거나 등등... 라우팅 알고리즘 그래프 (topology) - 라우터를 노드로, 그것들을 연결하는 link들을 간선으로 global : 모든 라우터가 전체 네트워크의 topology 와 link cost에 대한 정보를 모두 가지고 있는 ..

흠름름름 틀릴수도 잇더여 no. 104header length = 20total (IP datagram) length = 1500bytespayload length = 1500 - 20 = 1480 bytes no. 105header length = 20total (IP datagram) length = 548bytespayload length = 548- 20 = 528bytes 두 IP header의 어떠한 부분으로부터 fragmentation이 되었음을 알 수 있는가?>> 각각의 Flags 필드로부터 이들이 fragmentation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104번의 flag : 0x1와 105번 패킷의 flag : 0x0으로부터 알 수 있다. (0x1 : 현재 패킷이 단편화 되었고..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