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4/11 (34)
코드네임 :

메모리 할당 : 운영체제가 새 프로세스를 실행시키거나, 실행중인 프로세스가 메모리를 필요로 할 때, 물리 메모리 할당 [ 메모리 할당 기법 ]1. 연속 메모리 할당 : 프로세스 별로 연속된 한 덩어리의 메모리 할당- 고정 크기 할당 - 가변 크기 할당2. 분할 메모리 할당 : 프로세스에게 여러 덩어리의 메모리 할당 - 고정 크기 할당 : 페이징 - 가변 크기 할당 : 세그멘테이션 [ 연속 메모리 할당 구현 시 ]1. 하드웨어 지원 - CPU의 레지스터 필요 ㄴ base 레지스터 : 현재 CPU가 실행중인 프로세스에게 할당된 물리 메모리의 시작 주소 저장 ㄴ limit 레지스터 : 현재 CPU가 실행중인 프로세스에게 할당된 메모리 크기 저장 - MMU 필요 (가상주소를 물리주소로 변환 역할)2. ..
⚙️Computer System/운영체제
2024. 11. 6. 18:09

메모리: 실행하고자 하는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 적재(CPU는 메모리에 적재된 코드와 데이터를 처리 - 프로그램을 실행시키지는 못함) [ 운영체제에 의해 메모리 관리가 필요한 이유 ]1. 메모리 is 공유자원2. 메모리 has to be 보호ed3. need 메모리의 용량 한계 극복4. for 메모리의 효율성 증대 MMU : logical 주소(논리적 가상주소)에서 physical 주소(물리적 주소)로 바꿔주는 역할 ASLR : 주소공간 랜덤 배치 (실행할때마다 이들의 논리 주소가 바뀌게 하는 기법, 코드나 전역변수가 적재되는 데이터 영역의 논리 주소는 바뀌지 않음)
⚙️Computer System/운영체제
2024. 11. 6. 17: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