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463)
코드네임 :
컴퓨터 종류 - 퍼스널- 서버- 슈퍼- 내장 무어의 법칙- 칩에 포함되지 않은 트랜지스터의 개수는 2년마다 2배로 늘어날 것임 암달의 법칙- 시스템 구성상 프로세서가 2배가 되더라도 20%~40%의 성능 손실 발생 - ( 그니까 CPU 늘린 비율에 비해서 성능이 덜 향상 됨)향상 시간 = 영향받은 시간 / 개선된 인자 + 영향안받은 시간

https://www.acmicpc.net/step 단계별로 풀어보기 36유니온 파인드유니온 파인드(또는 disjoint set, 상호 배타적 집합, ...) 자료구조를 배워 봅시다.4 www.acmicpc.net 여기서 우선 1~3번까지 내일부터 7번까지 하루에 하나씩 해야지 (no.. 컴구 공부해야대서 3번은 1문제만 풀고 끗 난 아직 너무 감자다 ㅋㅋ #1000번 a, b = map(int, input().split()) # split() : input으로 받은 문자열을 공백을 기준으로 나누어 리스트로 만듦 (ex. 10 20 입력시 ["10", "20"] 으로 변환) # map(function, iterable) : 반복가능한 객체에 function을 적용한 결과를 담은 map객체를 반환 # ma..

패킷 스위치 - 라우터(동그라미), 스위치(네모) net neutrality - 망 중립성 RFC : 댓글 좀 달아줘! IETF : 국제 인터넷 표준화 기구 인터넷 : 앱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프라(기반시설), Socket API라는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제공 ⭐️ 1. Format (데이터를 보내는 포맷형식) 2. Order (메시지를 주고받는 순서) 3. Action (메시지를 주고받았을 때 취할 액션) 네트워크 엣지(끝) : 호스트(사용자), 서버(기업) + 접속 네트워크/물리적 미디어 : 유무선 링크들 + 네트워크 코어(중심) : 연결된 라우터들, 네트워크의 네크워크 시스템과 엣지 라우터 연결법 : 거주지 접근가능 인터넷, 기관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케이블(유선) 네트워크 FDM(주파수 ..
1969년 : 첫 네트워크 ARPAnet 1970년 : ALOHAnet -> 세계 최초 무선 네트워크 Paul Baran : 전용선 to 가변선 1993 : Mosaic 첫 웹 브라우저 Cerf and Kahn's internetworking principles: - minimalism, 자율성 - 최고의 서비스 모델 - 가변경로인 라우터 - 중앙집권되지 않은컨트롤 -> 이것이 현대의 인터넷 아키텍쳐 만듦 라우터 : IMP라고 불림 링크 : 50kbps의 속도 패킷 전환의 문제점 1. 깨짐(망가짐) 2. 순서변경 3. 이중 도착 4. 버려짐 TCP는 종단간 통신의 신뢰성을 높여주고, IP는 패킷 전환을 지원함
반드시 클래스가 하나이상 필요 클래스의 첫글자는 대문자로 byte < short/char < int < long < float byte가 int로 자동형변환 short a= 1; short b= 2; short res1 = a + b; // 오류남!!!! 왜냐면 a,b가 int로 자동형변환 되었기 때문 int res2 = a + b; //correct! 3 강제형변환 (casting) (큰 to 작) - 값 손실 가능 큰거타입 작은거이름 = (작은거타입) 큰거이름; ⭐️ 일단 ++연산자가 나오는 부분은 전부 실행됨!!!!! (예시 a,b) 그리고 후위연산자가 써있는 걸 더하는 거면 원본을 더함 (예시 c) int a=1, b=3, c=0; c = a++ + ++b; System.out.println(c)..
Iterable : 반복가능한 객체들 (set, list, tuple, dict...) 내장함수 Built-in enumerate, filter, map은 아주 중요 / zip 도 알아두면 좋음 # dir : 사용할 수 있는 메소드 및 함수들 print(dir(list)) # abs 절대값 print(abs(-3)) # all : iterable 요소 전부 검사(참, 거짓) print(all([1,2,''])) #and 역할 #>>> False (비어있는게 있기 때문에) print(any([1,2,''])) #or 역할 #>>> True # chr : 아스키 -> 문자, ord : 문자 -> 아스키 print(chr(67)) print(ord('C')) # enumerate : 인덱스 + Iterable..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예외 종류 # Syntaxerror : 문법 오류 # NameError : 참조 없음 (선언되지 않은 변수를 참조하려 했을때) # ZeroDivisionError : cant divide with zero(0) # IndexError : List의 인덱스 범위를 벗어났을때) # KeyError : dict에 없는 키 가져왔을때 # AttributeError : 모듈, 클래스에 있는 잘못된 속성 사용 예외 # ValueError : List/Tuple/Dict안에 없는 값을 참조시 # FileNotFoundError : 없는 파일을 열거나 지우려고 할떄 # TypeError : 자료형에 맞지 않는 연산을 수행할 경우 # Exception 또는 빈칸 : 모든 에러를 의미 , 포괄적 -> 아 그냥 어떤 예외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