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네임 :
[Linux] 5.0 파일 시스템 ..아이노드 등 본문
리눅스 파일 시스템
부트 블록
- 운영체제의 부팅에 필요한 코드가 저장됨
슈퍼 블록
- 파일 시스템과 관련된 정보 저장
아이노드 블록
- 파일에 대한 (메타)정보 저장
- 모든 파일은 반드시 아이노드 블록을 하나 가지고 있음
데이터 블록
- 파일이 보관해야 하는 데이터 저장
- 보관하는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여러개 일수도
아이노드에 저장된 데이터
1. 파일에 대한 메타 정보
- 크기, 파일 타입, 장치, 하드 링크의 수, 접근 권한, 소유자, 그룹, 마지막 파일 접근(access)시간, 마지막 파일 데이터 수정(modify) 시간, 마지막 파일 정보 변경(change) 시간 등
( * stat명령어 : 파일의 메타 정보를 보여줌)
2. 파일의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블록의 포인터
od 명령 (octal dump)
- 지정한 파일의 데이터 블록의 내용을 바이트 단위로 표준 풀력
- 기본적으로 바이트의 값을 8진수로 출력
옵션
-c : 바이트의 값이 문자 코드에 해당하면 실제 문자를 보여줌
-x : 바이트 값을 16진수(hex) 값으로 출력
- 최근 리눅스는 od 명령으로 불가
- ssh로 adobe 서버로 ㄱㄱ (솔라리스)
실습..
하드 링크 / 심볼릭(소프트) 링크
하드 링크
ln 원본파일명 하드링크파일명
- 하드링크는 원본파일의 데이터가 실제로 저장된 곳을 가리키는 아이노드만 추가된 파일
심볼릭 (소프트) 링크
ln -s 원본파일명 소프트링크파일명
- 소프트 링크는 원본 파일이 위치한 경로가 저장된 파일
- 윈도우의 바로가기와 유사함
디렉터리 (directory)
- 파일의 목록을 저장하기 위한 특수한 형태의 파일
- 디렉터리 파일이라고 부르기도 함
- 디렉터리 파일의 데이터 블록에 파일명이 목록으로 저장되어있음
디렉터리 항목 또는 항 (directory entry)
- 디렉터리 파일의 목록 = 항목(entry)
- 모든 디렉터리는 항상 두개의 항목을 가지고 있다
- 자기 자신을 나타내는 항 (.)
- 부모 디렉터리를 나타내는 항(..)
파일 시스템의 논리적 구조
실습
'⚙️Computer System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파일 검색하기 (2학기) (0) | 2023.11.01 |
---|---|
[Linux] 5.1 파일 사용 권한 (lab 7 실습) (0) | 2023.10.18 |
[Linux] 4.5 프롬프트 설정 ( 그리고 뒤에는 아예 진도를 안 나간 거 같은디) (0) | 2023.10.11 |
[Linux] 4.4 type 과 히스토리 -fc 와 명령 재실행 (0) | 2023.10.11 |
[Linux] 4.3 alias (0) | 2023.10.11 |